청소년 감정코칭_ 최성애, 조벽 공저(출처)
페이지 정보

본문
< 정서 지능이 높은 사람의 특징 >
- 대니얼 골먼에 따르면 정서지능이 높은 사람은
1. 자신의 감정을 잘 알아차린다.
2. 충동을 통제하는 데 능하다.
3. 자기 관리를 잘 한다.
4. 변화하는 상황에 잘 적응한다.
5. 자신의 감정뿐만 아니라 타인의 감정도 잘 알아차리고, 타인에 대해 잘 이해하고 파악하면서 대처한다.
6. 관계를 잘 관리한다(갈등을 잘 해결하며, 타인에게 영감을 주거나 좋은 영향을 주고, 타인의 성장에 도움을 준다.)
<청소년의 뇌는 리모델링 중>
- 한 번에 한 가지만 생각한다.
- 감정기복이 심하다.
- 충동적이고 절제하지 못한다 p.64
<뇌가 '공사 중'인 청소년을 대하는 법>
- 충분한 수면이 필요함을 이해하라(평균 9시간 15분은 자야한다)
- 대화할 때는 감성적으로 접근하라
- 관리자가 아닌 컨설턴트 역할을 하라. 컨설턴트는 책임을 대신 져주는 것이 아니라, 충분히 대화하고 가능성을 열어두고 숙고한 뒤에 아이 스스로 판단하고 선택할 수 있게 해 준다. 신중하고 현명한 선택을 할 때까지 제안하거나 기다려주되, 궁극적인 결정과 선택은 본인이 하도록 도와준다. 선택에 대한 책임은 선택한 사람이 지므로, 결과가 좋지 않다면 아이가 책임을 지고 거기서 교훈을 얻어 성장할 수 있다.
4. 실수에 관대하고 시행착오를 통해 배울 수 있게 하라.
5. 다양한 경험을 하도록 격려하라.
< 가트맨 박사의 양육자 유형 실험 >
1. 축소전환형 교사 및 부모의 특징
아이의 감정을 대수롭지 않은 것으로 축소한 뒤 다른 쪽으로 관심을 돌리려고 하는 유형, 이런 교사 및 부모는 아이의 감정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여긴다. 별로 중요하지 않으니까 무시하고 간과한다.
축소전환형은 아이의 부정적 감정이 빨리 사라지도록 격려한다. 그래서 기분을 전환시키려고 소위 '뇌물'이라 할 만한 다른 보상을 제공하기도 한다. 아이의 감정이 별것 아니라고 생각해서 놀리거나 농담으로 삼는 경우도 있다. 아이들이 소위 '나쁜 감정'을 보이면 교사, 부모 자신의 마음이 편치 않기 때문에 빨리 다른 감정으로 전환시키려 한다. 그러면 아이는 자신의 감정을 믿지 못하게 되고, 자신이 비정상적인가 하는 의구심을 갖게 되며 자신감과 자존감이 낮아진다. p.94
2. 억압형 교사 및 부모의 특징
억압형은 축소전환형과 어느정도 비슷, 아이의 감정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것까지는 비슷하나, 축소전환형은 달래주거나 다른 걸로 전환시켜서 아이의 부정적 기분이 사라지게 하지만, 억압형은 불편한 감정들을 꾸짖거나 훈계해서 그러한 감정이 들지 못하도록 한다. p.96
3. 방관형 교사 및 부모의 특징
방관형 교사 및 부모들은 아이들의 감정을 그대로 인정하고 수용한다. 감정에는 좋은 감정, 나쁜 감정이란 없고, 아이들은 다 그러면서 큰다고 믿는다. 아이가 울거나 화를 내거나 두려워하거나 슬퍼해도 그런 감정도 허용하고 격려한다. 감정에 대한 올바른 대처법은 지도해 주지 않고 그냥 허용만 하기 때문에 방임이 되는 것이다. 아이는 자기 행동이 어디까지 괜찮고 어디까지 안 되는지 바람직한 행동의 한게를 알 수 없게 된다. 또한 방관형은 감정은 모두 분출해야 좋다고 믿는다. "화낼 땐 물건이라도 집어 던져야 스트레스가 풀리지" 또는 "그래, 슬프면 실컷 울어"하고 말한다. 감정은 분출해야 한다고 생각하면서도 문제해결능력은 키워주지 않는것이 바로 방관형이다 .p.96
4. 감정코칭형 교사 및 부모의 특징
아이들의 감정을 그대로 인정하고 수용하는 면에서 방관형과 같지만, 감정을 느낀다고 해서 자기 마음대로 행동해도 되는 건 아니라고 생각하며, 행동에 적절하게 제한을 두고 바람직하나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함께 대안을 찾거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모든 감정을 허용하지만 행동에 제한을 둔다는 게 핵심이다.
" 지금 어떤 일로 화가 났는지 얘기해 줄 수 있겠니?"
" 많이 슬퍼하는 것 같은데, 무슨 일이 있었는지 얘기해 줄 수 있어?"
아이의 감정에 공감해 준 다음, 아이의 행동에 대안을 제시해 주거나 문제해결방법을 함께 생각해 보는 것이 감정코칭형 교사 및 부모의 특징이다.
< 사춘기 아이들의 발달단계 특성 >
1. " 다 알아요"하는 태도를 보인다.
2. 한계를 시험해 보려고 교사나 부모를 힘들게 한다.
3. 쉽게 상처받고 감정적으로 불안정하다.
4. 감정 기복이 크고 조절이 잘 안된다.
5. 거부당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크다.
6. 존경하는 어른과 자신을 동일시 하려고 한다.
7, 어른들에게 비판적이다.
8. 이성을 짝사랑하는 경우가 흔하다.
9. 어떻게 하면 돈이 생길까 궁리한다.
10. 같은 나이라도 인지 발달과 정서 발달의 수준이 다르다.
<몰입이 일어나려면? 몰입의 3요소>
1. 뚜렷한 목표
2. 즉각적인 피드백
3. 자기 능력에 맞는 도전이 있어야 한다.
- 이전글방어기제의 사례 22.05.03
- 다음글상담가의 관점과 상담기법 22.05.0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