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상담학과와 심리학과의 차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34회 작성일 22-05-03 11:09

본문

*  전국의 상담관련 학과가 개설돼 있는 4년제 대학교와 그 개설설치 전공명의 목록입니다. 이 정보는 전국대학 상담학  과 협의회에 가입되어 있는 대학 기준입니다. 총 28개 대학교입니다.

 

건양대학교 - 심리상담치료학과

광주여자대학교 - 상담심리교육학과

국제디지털대학교 - 아동복지상담학과

대구사이버대학교 - 상담심리학과

대구한의대학교 - 청소년교육상담학과

동서대학교 - 청소년상담심리전공

동신대학교 - 심리상담치료학과

동의대학교 - 보육,가정상담학과

루터대학교 - 상담학과

백석대학교 - 기독교상담학과

삼육대학교 - 상담학과

서울디지털대학교 - 상담심리학부

서울사이버대학교 - 가족상담학과/군경상담학과/상담심리학과

선문대학교 - 상담,산업심리학과

순천향대학교 - 청소년교육상담학과

전주대학교 - 상담학과

조선대학교 - 상담심리학부

침례신학대학교 - 상담심리학과

한국디지털대학교 - 상담학과

한국사이버대학교 - 상담학부

한동대학교 - 상담심리사회복지학부

한민대학교 - 복지상담학과

한양사이버대학교 - 상담심리학과

한영신학대학교 - 기독교상담학과

호남신학대학교 - 사회복지상담학과

호서대학교 - 청소년문화상담전공

열린사이버대학교 - 상담심리학과

김천대학교 - 상담심리복지학과

 

* 학과 명칭 :  상담학과, 상담심리, 심리상담 그리고 여타의 대상이나 타 분야가 결합된 형식으로 구성

->  학과 혹은 그 학과의 중심 학맥이나 특정의 대표 교수님들의 전공성향을 반영한 탓이라고 볼 수 있다.

->  전공을 개설할 때 특정 학회나 자격증 획득에 유리할 수 있도록 전공과목 설계의 의도가 개입될 수도 있다.

 

 

어떤 학과를 나오냐는 별반 차이는 없지만 상담관련 학회의 경우 4대 학회( 한국상담학회, 한국심리학회, 한국상담심리학회, 한국임상심리학회)에 가입하여 자격을 획득하는 데 가입의 조건이나 이수 전공교과 혹은 시험과목 면제 등에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대개의 상담학과는 교육학부나 대학에 소속된 하위 전공학과일 경우가 상례라 임용 교수의 경우 고르게 교육학, 교육심리, 상담학, 심리학, 임상심리, 복지심리, 사회심리,산업심리 등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지요. 주축이 누구냐 혹은 대학이 어떤 내용을 중심으로 둘 것이냐에 따라 좌우된다.

 

임상심리사 자격의 경우, 크게 국가공인자격인 임상심리사 자격과 보건쪽의 자격 그리고 민간학회인 한국임상심리학회의 임상심리사 자격 해서 3가지의 자격증이 있다. 특히 국가공인 임상심리사 자격의 경우 거의 공무원의 업무 단순 기준으로 여겨지는 해프닝적인 기준이 있는데 심리라는 단어가 들어가야 거의 모든 사항을 인정 받을 수있다는 이야기때문에 나온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요구하는 바가 그렇다면 그렇게 맞게 준비하면 된다. 그런데 상담관련 학과에서는 상담관련 자격을 하나만을 겨냥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어떤 자격을 주 겨냥 대상으로해서 학생들에게 서비스할 것인가는 그 대학이 정한다. 전문상담교사, 청소년상담사, 직업상담사, 임상심리사, 보건관련 임상심리사 등 국가공인 자격 이외에도 민간자격을 너무도 많다. 그 레벨은 최고위인 학회레벨을 비롯해 협회레벨, 센터나 개발원레벨, 연구소나 연구원, 클리닉레벨, 협의회, 총장, 단체장 등의 레벨 정도까지가 어느 정도 인정받을 만한 자격증이라고 할 수 있다.

 

 요즘 상담관련 학과를 졸업하고 취업이 문제가 될 것인데, 전공으로서의 상담학전공은 비전공 석사와 비슷한 레벨로 보거나 대개는 학위 중심으로 보기도 하지만 많이 우대받는 추세다. 석,박사를 밟아 국가공인자격부터 우선 취득하고 민간자격들을 학회중심으로 또한 취득하며 대상과 철학, 기법으로 자기중심적으로 가져가 확보하는 것이 좋을 듯하며 이런 패턴으로 대개의 경우 상담학 관련 진로를 모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간단한 일거리는 복지관 , 상담센터, 위센터, 개발원 등도 있지만 이는 경력을 쌓기 위한 과정이고 핵심은 장기간의 프로젝트를 감안하는 것이 좋다.

관련 정보를 더 많이 알아 볼 만한 곳은 아마도 없을 듯하며 찾더라도 기본적이고 객관적인 정보 정도일 것이다. 전국대학교육협의회 홈피에 가시면 학과정보, 고용정보원이나 커리어넷과 워크넷에 가시면 직업정보 정도를 얻을 수 있으며, 자대 상담라인을 찾으면 그분들이 선배격의 전공자들이므 오히려 더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오래면 오랠 수록, 임상의 경험이 깊으면 깊을 수록 그분이 진짜 질문자의 질문에 깊은 해답을 줄 수 있는 분일 것이다.

이 전공은 직업전공이기 이전에 삶의 전공이자 인간학의 전공이다. 스스로의 탐구와 깨달음이 선행되고 나서야 비로소 자신의 길을 확신할 수 있다고들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