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심리학의 이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59회 작성일 22-05-03 11:10

본문

1.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심리학이란 인간을 이해하기 위한 학문이다. 인간 이해의 접근방법으로 생물학적, 행동적, 인지적, 정신분석학적, 현상학적 이해방법 등이 사용되며, 이론심리학과 응용심리학이 있다.

1) 심리학의 정의

심리학(Psychology)은 인간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다.

Wundt-“내적인 경험 즉 의식”, Watson-“인간행동”, Hilgard-“인간과 동물의 행동연구”, Mayer-“인간의 정신과정과 기억구조를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학문”, Morgan-“응용과학.”

즉 “심리학은 인간을 이해하기 위하여 행동과 정신과정을 연구하는 과학적인 학문이다.

2) 심리학과 인접학문과의 관계

심리학 ⇒ 1) 사회과학-포괄적, 2) 행동과학(심리학, 언어학, 인류학), 인지과학-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의 연구로 발전된 과학-지각, 기억, 추리를 신경과학, 인류학, 언어학 철학 등과 관련해 종합적으로 이해.

2. 심리학의 역사

1) 현대심리학 이전의 배경

(1)철학적 배경철학⇒심리학 , 신체와 마음(psyche), Plato- 심신이원론, Aristoteles:-일원론, 영혼이 육신 속에 머문다, Descartes- 유기체론(심신이원론), Spinoza- 심신일원론, Leibniz- 심신병행론, Locke- 경험론, Kant & Hegel- 인식의 문제 사색.

(2)자연과학적 배경Descartes- 유기체론, Müller-신경에너지의 원리, Helmholtz-신경충격의 전이속도 측정, Weber & Fechner-자극과 감각 사이의 관계측정, Darwin-종의 기원(1859년), >Garton-유전적 특질에 따른 개인차, Pearson & Spearman-통계적 방법 계발.

2) 현대 심리학의 성립과 학파

(1) Wundt와 구성주의: Wilhelm Wundt(1832-1920)가 1879년 독일 Leibzig대학에 심리실험실 창설. 현대 심리학의 아버지. 의식의 내용 분석방법으로 내성법(introspection) 고안. 구성주의(structuralism) 또는 내성심리학. Titchner(1867-1927)가 20세기초 미국 심리학계 주도.

(2) James와 기능주의: Havard대학의 William James(1842-1910). 의식의 전체적 기능을 연구. 기능주의(Functionalism). J. Dewey(1859-1952), Angell(1869-1949)도 가세.

(3) Watson과 행동주의: John B. Watson(1878-1950)은 객관적 관찰과 측정이 가능한 행동만 다루는 행동주의(Behaviorism) 심리학을 주창(1913년). Pavlov의 조건반사(1906), Thorndike의 고양이(1898), Skinner의 쥐 실험(1938). 인간이해의 기본공식을 자극-반응(stimulus-response)이라고 하여 S-R심리학. > Woodworth(1869-1962) - 유기체(organism)추가삽입. S-O-R의 공식을 제시. Tolman(1866-1959), Hull(1889-1966) 과 함께 신행동주의 심리학파 형성. 1950년대 심리학의 과학화에 기여. 수동적 인간관.

(4)Wertheimer와 형태주의: Max Wertheimer(1880-1943)

지각 및 사고연구를 전문 영역으로 하여 경험의 전체성을 강조하는 형태주의(Gestaltism) 심리학을 창시. 가현운동(apparent movement). 역동적 정신과정. 통태(統態)심리학. Koffka, Köhler, Lewin 등. 지각 중심적인 해석으로 인지심리학 발달의 기초가 됨.

(5)Freud와 정신분석: Sigmund Freud(1856-1939)의 정신분석학(Psychoanalysis). 무의식 중시하는 심층심리학(Depth Psychology). 자유연상법과 꿈의 분석법. 성적 욕구 중심의Freud와 달리 Alfred Adler(1870-1937)와 Karl Gustav Jung(1875-1961)은 열등감(inferiority feeling), 집단무의식 같은 문화적 요소를 강조.


3. 심리학에서의 인간 이해방법

(1) 생물학적 이해방법, (2) 행동적 이해방법, (3) 인지적 이해방법, (4) 정신분석적 이해방법, (5) 현상학적 이해방법-개인 주관적 경험 강조. 인본주의적 이론.

4. 심리학의 분야

1) 이론심리학(Theoretical psychology) 분야

(1) 발달심리학(Genetic/Developmental] psychology): 아동기, 청년기, 노년기.

(2) 사회심리학(Social psychology): 상호작용, 집단행동.

(3) 성격심리학(Personality psychology): 성격형성과정과 개인차. 심리검사.

(4) 인지심리학(Cognitive psychology): 감각기관, 인지과정, 정보 해석 처리.

(5) 학습심리학(Learning psychology): 기억과 학습의 원리. 언어, 지식, 태도.

(6) 생리심리학(Physiological/ Bio-psychology/ Psychobiology): 뇌의 기능.

(7) 실험심리학(Experimental psychology): 실험중심의 심리학 총칭.

2) 응용심리학(Applied psychology)의 분야

(1) 임상심리학(Clinical/Medical psychology): 이상행동. abnormal psychology.

(2) 상담심리학(Counseling psychology): 적응과 생활지도. 행동수정 프로그램.

(3) 학교심리학(School psychology): 학습, 독서, 학교생활, 심리검사.

(4) 교육심리학(Educational psychology): 합당한 교육과정 개발.

(5) 산업심리학(Industrial/Organizational psychology): 공학 및 조직심리학.

(6) 광고심리학(Advertising psychology): 광고심리연구, 소비자심리학.

(7) 기타 - 범죄심리학, 법정심리학, 환경심리학, 건축심리학, 건강심리학 등.

5. 심리학의 연구방법

1) 과학적 방법의 특징-객관성, 관찰가능성-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

가설연역적-검증을 통한 통칙> 일반화로 확대됨.

2) 연구방법-실험법, 자연관찰법, 조사법, 심리검사법, 사례연구법.

3) 자료정리방법-

(1) 측정치의 종류(명명척도, 서열척도, 등간척도, 비율척도).

(2) 통계적 방법(기술통계와 추리통계).

 

제9장 성격(性格, Personality) 

    1. 성격의 정의

성격에 공통된 3요소: ① 개인의 고유 독특성, ② 안정성(stability) 즉 일관성(consistency), ③ 성격의 요소나 내용.

성격이란 한 개인이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나타내는 독특하고 일관성이 있으며 안정된 인지적, 정동적 및 행동적 양식이다.

※용어의 구분

① 성격(Personality): 생물학적-환경적 맥락 속에서 나타난 인지적, 정동적, 외현적 행동특질의 일부 특성으로 선천적으로 타고난 것.

② 기질특성(temperament): 성격 중에서 개인이 타고난 생물학적 구조를 더 강조한 용어.

③ 인격(character): 그가 속해있는 사회의 가치나 관습과 관련이 있는 특성으로 개인 행동의 도덕적인 측면을 반영하는 것이다(Millon & Everly, 1985).

1) 성격의 결정요인

(1) 생물학적 요인(선천적): 유전과 부모체형, 어머니의 상태.

(2) 환경적 요인(후천적): 유기체 외부에 있는 모든 자극, 부모, 가족, 친척 등.

2. 성격의 이론

1) 정신역동 이론(psycho-dynamic theory):

(1) Freud

정신결정론(psychic determinism)과 무의식적 동기(unconscious motivation)을 강조. 개인의 행동이 원초아(id: 쾌락원리에 지배됨; 일차과정), 자아,(ego: 현실원리를 따름) 초자아(superego)의 갈등에서 비롯된 긴장을 감소시키려는 본능(instinct) 즉 추동(drive)에 의해 동기화된다고 가정. 자아의 기능은 원초아와 초자아의 욕구를 현실적인 상황에 맞도록 조정하고 통합하여 지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이차적 과정이라고 부른다.

※불안의 종류: ① 현실불안, ② 신경증적 불안, ③ 도덕적 불안.

(2) Adler(1870-1937)비엔나 정신분석회의 회장 역임. 성격의 주요 요인을 유아기 때 경험하는 기관 열등감(organ inferiority)으로 보고 이를 보상하려는 노력이 우월(superiority)이나 권력(power)에 대한 추구로 나타난다고 가정. 그는 성격발달이 부모와 아동 간에 주고 받는 사랑과 가족, 형제관계, 출생순위 등에 영향을 받는다고 믿었다. 과잉보호의 문제점을 지적.

(3) Jung(1875-1961)분석심리학파의 창시(1914). 개인무의식과 과거 조상의 누적된 경험이 저장되어 있는 집단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ness)을 가정. 집단무의식을 구성하는 요소로는 원형(archetype)으로 원형의 종류에 페르조나(persona), 그림자(shadow), 아니마(anima: 남성이 가진 여성성)-아니무스(animus: 여성이 갖고 있는 남성성) 및 자기(self) 등이 있다. 또 개인적 무의식을 성격의 구성요소에 포함시킴. 창조적 힘을 보유한 자아도 구성요소로 봄. Jung의 내향성과 외향성 개념이 Eysenck의 성격이론에 중요한 기초를 제공.

2) 특질이론(trait theory)

기질특성(temperament). 특질이론은 성격의 지속성과 일관성을 강조한 입장으로 Allport와 Cattel 및 Eysenck 등이 대표적이다.

(1) Allport(1896-1967): 성격을 특징적인 행동과 사고를 결정짓는 개인의 정신생리적 체계 내에 있는 조직화라고 정의함. 공동특질, 기능적 자율 개념(functional autonomy) 강조.

(2) Cattel(1905-): 성격을 한 개인이 특수한 상황에서 무엇을 할지 예측할 수 있게 해주는 원리라고 봄. Spearman이 1904년에 개발한 요인분석법을 응용. 특질을 시간과 상황에 걸쳐서 규칙성을 가지고 나타나는 행동유형으로 가정. 특질을 표면특질(surface trait)과 원천특질(source trait)로 구분. 16성격요인 질문지(16PF) 개발.

(3) Eysenck(1916-):

Eysenck는 성격구조의 핵심을 유형(type)이라고 보았다. 단순한 수준의 행동을 특정반응(specific response)이라 부르고, 이 특정반응 몇 개가 모여 습관을 형성한다고 봄. 또 습관의 집단이 모이면 특질이 되고, 이 특질이 여러 개가 모인 조직화된 수준을 유형(type)이라고 정의함. Eysenck의 성격이론은 위계적이며 가장 상위에 있는 성격차원은 외향성-내향성(extraversion-introversion) 차원, 정서적 안정성(stability) 차원 및 신경증적 경향성(neuroticism) 차원이다. 그는 아이젱크 성격차원검사(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EPQ)를 만들었다.

3) 학습이론(Learning theory)

학습이론에서는 성격이 강화(reinforcement), 보상, 처벌 등에 의해 습득되며 자극의 일반화, 변별, 행동 연쇄 등의 과정을 통해 보다 상위의 복잡한 행동이 형성된다고 가정하였다.

(1) 고전적 조건화 이론: Pavlov의 조건반사 실험. 자극의 일반화, 변별, 소거(extinction). 선행자극과 그에 대한 반응의 관계를 중요시한다.

(2) 조작적 조건화 이론: 행동의 결과와 그 다음에 오는 반응의 관계에 초점. 강화(reinforcement). 함수분석(functional analysis). 점진적 접근법(method of successive approximation).

(3) 사회학습 이론

사회학습이론에서는 타인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서 조건화가 되는 관찰학습(observational learning)과 모델의 행동을 모방함으로 새로운 행동을 학습하는 모델링(modeling)에 의해 성격이 형성된다고 본다. 자기효능감(self-efficacy).

4) 현상학적 이론

현상학적 이론에서는 개인이 세계를 지각하고 해석하는 주관적 경험을 성격의 중요한 요인

으로 가정한다. 또 자기개념과 경험의 일치가 중요하고 자아실현 동기 등 여러 욕구가 행동을 특징짓는 것으로 본다.

(1) Rogers(1965): 로저스는 인간의 행동을 개인이 지각한 현상적인 장(field)에서 유기체가 지각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하는 목표지향적 노력으로 보았다. 실현경향성(actualizing tendency). 자기(self)개념을 중요시. 자기와 경험간의 일치와 자기일관성(self-consistency)을 강조.

(2) Maslow(1908-1970): 동기에 관심을 가짐. 자아실현 동기가 몇 단계를 거쳐 그 사람의 삶을 지배하게 된다는 욕구위계설(hierarchy of need)을 주창.

※ Maslow의 욕구위계설(hierarchy of need)

① 생리적 욕구

② 안전욕구

③ 소속과 사랑의 욕구

 존중욕구

⑤ 자아실현욕구

physiological needs

safety needs

belongingness & love needs

esteem needs

self-actualization needs


제11장 이상행동


1. 이상행동의 정의

이상행동(abnormal behavior)이란 정상에서 벗어난 행동을 말한다.

1) 이상행동을 정의하는 준거

(1) 통계적 준거: 통계적 관점에서 정의. (2) 사회문화적 준거: 사회규범, 문화적 관습이 기준. (3) 행동의 적응성 준거: 개인과 사회집단의 복지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여부. (4) 개인적 준거: 개인이 경험하는 심리적 갈등의 정도가 심한가에 따라 (5) 전문적 준거 (6) 이상행동의 명명: Zimbardo(1979)가 증거 제시.

2) 이상행동의 설명모델

(1) 통계학적 모델 (2) 생리학적 모델 (3) 정신분석적 모델 (4) 행동주의 심리학적 모델 (5) 인본주의 심리학적 모델

2. 이상행동의 분류

1) 이상행동의 분류체계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요강 제4판(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 DSM-Ⅳ, 1994) 및 국제 질병분류체계(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tenth Edition: ICD-10, 1992).

2) 이상행동의 주요 유형

DSM-Ⅳ의 정신장애 분류

(1) 정신분열증(schizophrenia): 스위스 정신과의사 Bleuler가 이 용어 처음 사용(1911년).

① 정신분열증의 임상적 특징: 정적 증상(positive symptom)과 부적 증상(negative symptom)이 최소 6개월 이상 지속되고 사회적 직업적으로 명백한 역기능을 보이며 분열정동장애나 기분장애 등으로 설명될 수 없는 장애. 사고장애, 지각적 왜곡, 정동장애, 성격장애 및 대인관계의 장애를 보이며, 망상과 환각, 현실검증력의 손상이 특징.

② 정신분열증의 하위유형

가. 망상형(paranoid type) 나. 혼란형(disorganized type) 다. 긴장형(catatonic type)

라. 미분화형(undifferentiated type) 마. 잔여형(residual type).

③ 정신분열증의 원인

가. 심리적 관점 나. 생리학적 관점 다. 사회적․ 환경적 관점-하류가 1:9로 발생빈도가 높음.

(2) 기분장애(mood disorder)

① 기분장애의 임상적 특징: 주요 우울일화(major depressive episode), 조증일화(manic episode), 혼합일화(mixed episode), 경조증일화(hypomanic episode).

② 기분장애의 하위유형:

가. 우울장애(depressive disorder): 우울한 기분이 지속되는 장애. 부정적 신념이 문제(Beck). 학습된 무기력(Seligman).

나. 양극성 장애 (bipolar disorder): 우울한 기분과 고양된 기분이 주기적으로 교대로 나타나는 장애.

③ 기분장애의 원인: 가. 인지적 관점, 나. 행동주의 심리학적 관점, 다. 생리학적 관점,

라. 정신분석적 관점.

(3) 불안장애(anxiety disorder)

① 불안장애의 임상적 특징: 불확실감, 무력감, 생리적 각성을 특징으로 보이는 장애.

가. 공황발작(panic attack) 나. 광장공포증(agoraphobia) 다. 공황장애(panic disorder)

라. 특수공포증(specific phobia) 마. 사회적 공포증(social anxiety disorder) 바. 강박장애(obsessive-compulsive disorder): 강박관념(obsession)과 강박행동(compulsion).

사.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해리상태(dissociative state)나 심인성 기억상실증 증상 유발.

아. 급성 스트레스 장애, 자. 일반 불안장애.

② 불안장애의 원인

가. 행동주의 심리학적 관점, 나. 인지적 관점, 다. 생물학적 관점, 라. 정신분석학적 관점.

(4) 성격장애(personality disorder)

성격의 정의: 사람이 사회적 개인적 맥락 속에서 나타나는 자신과 환경에 대해서 지각하고 생각하며 관련을 짓는 지속적인 정서적 행동의 특질.”

① 성격장애의 주요 하위유형과 임상적 특징:

가. 군집 A의 정신분열형 성격장애; 망상, 의심, 참조관념, 기이한 신념, 마술적 사고 등.

나. 군집 B의 반사회적 성격장애: 죄의식이나 양심이 없는 상태인 초자아 결여(superego lacunae)를 보이며 자신들의 행위를 정당화하는 경향.

다. 군집 B의 경계선 성격장애: 자아상, 대인관계, 기분의 영역에서 광범위한 불안정성을 보임. 정서적 불안과 우울증세 심화. 자해 자살 시도.

라. 군집 C의 기타 성격장애중 수동공격적 성격장애.


제12장 스트레스와 적응

1. 적응의 개념

1) 적응과 부적응

적응의 정의: “적응이란 한편으로는 개인의 욕구가, 다른 한편으로는 환경의 주장이 충분히 만족된 상태. 개인과 대상 혹은 사회 환경과의 조화를 말한다. 이 조화로운 관계가 획득될 수 있는 과정이다.”(Eysenck & Wurzburk, 1972, p.52). 즉 적응(適應, adaptation)이란 개인이 살고 있는 가정, 직장, 학교 등 사회 내의 대인관계 맥락에서 자신의 욕구를 충분히 만족시키면서 조화를 이루어 가는 것이다. “적응은 개인과 환경의 조화로운 관계이다.”

2) 적응과 건강의 관계

(1) 적응의 문제: 적응은 환경의 수용이나 동화(accommodation)를 의미한다.

(2) 정상성의 문제, (3) 정신건강의 문제.

2. 스트레스의 원인과 유형

1) 스트레스의 개념

스트레스란 외적 조건에 대한 생리적 반응이며, 환경적 자극 혹은 개인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이다.

외적조건에 대한 생리적 반응

2) 스트레스의 근원

개인 내부에서 상반되는 두 개의 욕구 혹은 동기가 있을 때 갈등을 느께게 되고, 이는 매우 중요한 스트레스의 근원이 된다. 갈등은 다음 네 유형으로 나뉜다. ① 접근-접근 갈등, ② 회피-회피 갈등, ③ 접근-회피 갈등, ④ 이중접근-회피 갈등이다.

3. 적응의 방법: 대처

1) 문제중심의 대처(problem-focused coping)

정서중심의 대처(emotion-focused coping)

2) 방어기제의 사용

방어기제는 자기기만이 무의식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으로서, 스트레스 상황을 직접적으로 처리할 수 없을 때 우리에게 심리적 안정을 가져다주는 적응의 방법이다. 모든 방어기제는 개인을 위협으로부터 보호한다는 일차적 기능을 갖는다.

① 억압(repression): 위협적인 내적 충동이나 생각을 의식 밖으로 밀어내는 것.

② 부인(denial): 외적인 위험과 당면한 상황을 받아들이기 두려울 때 하는 기제.

③ 합리화(rationalization): 그럴듯한 설명이나 이유를 붙여서 불쾌한 현실을 피해보려는 시도. 신포도 기제와 단 레몬 기제. 합리화는 무의식적 변명이다.

④ 치환(displacement): 어떤 사람이나 대상ㅇ에게 향한 충동이나 감정을 다른 사람이나 대상에게 옮겨서 표현하는 것. 승화(sublimation).

⑤ 투사(projection): 자기 자신의 느낌, 생각, 충동 및 속성들을 다른 사람에게 귀인시키는 과정. 편집증적인(paranoid) 경향의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는 기제. 소박한 투사와 방어적 투사(Coan). 그 밖에도 자아를 위협하는 상황을 다루기 위하여 퇴행(regression), 이지화(intellectualization), 고립화(isolation) 등의 기제가 사용된다.


제13장 심리치료 

1. 정신분석적 치료방법

1) 정신분석: Freud의 성격의 이론에 기초한 치료방법으로, 자유연상이나 꿈의 해석을 사용하여 환자의 무의식적 세계를 이해하고, 정신 내적인 갈등을 해소하는 데 관심이 있다. 치료의 과정은 ① 개시 단계 ② 전이의 발달 ③ 통찰과 훈습 ④ 전이의 해결의 4단계가 있다.

2) 다른 분석적 심리치료들

분석적 심리치료에서는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는데 성적인 요소보다는 사회적 혹은 문화적 요인들을 강조하였으며, 행동에 영향을 주는 자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여기에는 신 프로이트 학파로 알려진 Adler(개인심리학, 인지적 심리치료), Jung(분석적 심리치료, 원형), Karen Horney(신경증, 자기분석(self-analysis)) 등의 치료양식이 포함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