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자녀 양육 방식 유형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92회 작성일 22-05-03 10:07

본문

자녀 양육 방식 유형 >

 

 

부모를 통해 그릇된 삶의 태도와 기질이 학습되거나 혹은 상처를 받아 삶의 태도와 기질에 문제가 생긴 것입니다이때 부정적 영향을 받아 악한 마음이 그 심성에 자리잡음으로 인간성이 깊이 파괴된 것입니다한번 형성된 삶의 태도와 기질을 바꾼다는 것은 무척 어려운 일입니다.

다음에 열거하는 유형 중에 당신이나 당신의 부모님은 어떤 방식으로 자녀를 양육했는지 살펴보십시오나의 현재의 자녀 양육방법은 대부분 나의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것일 확률이 아주 높으며 또한 현재에 나의 자녀 양육방식에 아주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을 것입니다전체 중에서 당신에게 해당되는 유형 한두 가지를 찾아봅시다.

 

① 강압

여기에 속하는 부모는 자녀들에게 항상 지시하고감독하고 훈계하며 자녀의 기억을 늘 상기시킵니다이것은 자녀의 일을 쉽게 해주고 시간과 노력을 절약하는 방법인지 몰라도그렇게 함으로 자녀가 스스로 관심을 가지고 독립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빼앗게 됩니다.

 

② 방치형

방치형은 부모가 자녀에게서 떠나 있거나 다른 일에 몰두해 있어서 자녀의 성장발달 단계에 관심을 가져주지 못할 때 생깁니다어린 시절에 부모에게서 방치되었던 경험이 있는 자녀는 다른 사람들과 친밀한 교제를 나누며 의미 있는 관계를 맺는 능력이 부족합니다.

 

③ 과보호형

이 유형은 강압형의 반대입니다과보호형의 부모는 자녀의 요구나 떼를 쓰는 것충동적인 행동 등을 그대로 받아줌으로 자녀를 다스릴 힘을 잃게 되고자녀는 규칙을 무시하고 오히려 자기가 원하는 대로 부모를 조종하려 합니다이러한 부모는 자녀를 사랑한다는 이유로 허용하나 이것은 자녀를 위하는 것이 아니라 망치는 것입니다이렇게 길들여진 자녀는 더욱더 자신의 욕구를 채우려고만 하며 다른 사람의 권리를 존중하지 않는 사람이 됩니다. ‘안 된다라는 단어가 그에게는 생소하게 들리게 됩니다그러한 자녀는 어린시절에 부모로부터 받아야 할 제재를 받지 못했기 때문에 어른이 되어서도 안 된다라는 단어의 의미를 여전히 이해하지 못합니다.

 

④ 신임형

이 유형은 부모가 자식의 일에 관해 결정할 때 자녀의 특징흥미그리고 관심에 맞도록 고려합니다또한 부모의 결정이 자녀에게 불만스러울 때는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해주고 부모 쪽에서는 원래의 결정에 대해 자녀의 의견이 합리적이면 받아들입니다그러나 최종결정은 어디까지나 부모가 하되 한 번 결정된 사항이나 규칙에 대해서는 반드시 지키도록 엄격하게 요구합니다.

 

⑤ 완전주의형

이 유형은 보통 성공한 사람 가운데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그러나 그는 자신의 성취 수준에 만족하지 못합니다이 사람에게는 어떤 것이든지 결코 충분치 못합니다완전주의자는 어디서 이런 것을 배울까요이것은 대개 조건적으로 자녀를 용납했던 가정을 통해서입니다부모가 자녀에게 그의 수준 이상으로 성취하기를 기대하고 그러한 기대가 충족될 때만 가치를 인정해 줍니다자녀는 이에 보조를 맞추기 위해 죽도록 노력하고 성취욕에 지나치게 몰두합니다그는 부모가 기대하는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다는 느낌 때문에 자신이 가치있는 존재라는 것을 항상 느끼지 못합니다.

 

⑥ 무절제형

무절제형은 자녀에게 필요한 것이면 무엇이든지 넘치도록 채워주는 가정에서 생깁니다여기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자녀가 정말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고려하지 않은 채 자녀가 원하는 것과 자녀에게 필요한 것을 부모가 무절제하게 일방적으로 채워주는 것입니다수년을 이렇게 과도하게 공급해 주다 보면 아이는 사물에 대해 싫증을 느끼고 독창성과 자발적인 능력을 잃어 무감각해집니다그는 열심히 일해서 받는 대가가 어떤 것인지 경험해 본 적이 없기 때문에 어떤 일에도 꾸준히 지속적으로 인내하지 못합니다.

 

⑦ 체벌형

체벌형의 양육방식은 부모가 자녀에게 드러내는 표면적인 분노와 공격을 포함한 여러 가지 방법으로 나타납니다이것은 종종 강압형과 완전주의형을 합친 형태입니다부모는 자녀에게 벌을 줄 때 스스로 정당하다고 느끼지만 대개 자녀의 행동과 태도 때문이 아니라 자신의 분노좌절인내심의 부족 때문에 화를 내고 맙니다이렇게 부모에게 혹독한 취급을 받는 자녀는 벌을 정당화시키거나 혹은 벌을 자초하는 행동에 익숙해집니다.

 

⑧ 거부형

거부형은 일반적으로 그리 흔한 형은 아닙니다단어의 의미만을 생각해도 부모가 자녀를 거부한다는 것은 흔히 있을 수 없는 일이기 때문입니다이것은 대개 부모가 보여준 다른 행동과 혼합되어 있거나 혹은 부모의 어떠한 행동을 자녀가 자기를 거부하는 것으로 받아들이는 경우입니다계속해서 거부감을 경험한 자녀는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갖게 됩니다성장함에 따라 마음속에는 쓴 뿌리가 생기고 근심과 외로움과 무력감을 느끼며 자신의 가치를 인정하지 못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