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정서지능을 높이는 5가지 전략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30회 작성일 22-05-03 10:19

본문

1. 정서지능을 높이는 전략

 

1) 자기인식 전략 - 자기 자신을 아는 능력 어떤 자아모델을 갖고 있느냐에 따라 자기인식 행동은 다르게 나타난다. ‘나는 이러이러한 사람이다. 그러니까 잘 견딜 수 있다.’ 이렇게 자신에 대한 역할을 스스로에게 자각시키고 이를 통해서 자신의 행동을 이끄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자아모델이다. 이 때 ‘나는 이러이러한 사람이다.’라는 생각이 바로 자아 정체감인데, 이것은 자아모델에 따라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다음 행동으로 감정을 이끌어내는 형태를 달라지게 만든다.

 

2) 자기 동기화 전략 - 인생의 어려움을 헤쳐 나가는 능력 인생의 과정에서 어떤 어려움에 부딪혔을 때 사람마다 대처하는 태도가 다르다. 어려움을 지혜롭게 극복하고 오히려 그 어려움을 통해 더 크게 성장하는 사람이 있다. 반면, 극복할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닥친 어려움에 대한 공포와 좌절감으로 결국 실패하고 마는 사람도 있다. 이러한 태도의 차이는 이성적 능력에 있는 것이 아니라 정서 능력에 관계된 것이다. 이때 어려움을 무릅쓰고 계속 노력할 수 있는 정서 능력을 자기동기화 능력이라고 한다. 여기에는 집중력, 만족지연 능력, 낙관성 등이 포함된다

 

.3) 감정이입 전략 - 남의 입장이 될 줄 아는 능력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내 것처럼 느끼는 능력인 공감, 즉 감정이입 능력은 사회생활에 필수적인 능력이다. 공감은 인간의 도덕적 판단이나 행동과 그 뿌리를 함께 하고 있다. 타인의 고통에 둔감하다면 그 사람은 감정이입 능력이 매우 낮다고 할 수 있다.

 

4) 대인관계 전략 - 나를 알고 상대를 아는 능력 대개 아이가 자기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이유는 감정을 털어 놓으면 창피하지 않을까 하는 염려 때문이다. 어머니한테까지도 말이다. 이럴 때는 어머니부터 자신의 속마음을 아이한테 털어놓을 필요가 있다. 그러면 아이도 자연스럽게 어머니에게 자신의 속마음을 털어놓는다. 아이에게 ‘엄마하고 나는 하나’라는 느낌을 갖게 하는 것이다. 아이는 그 느낌을 바탕으로 자신감을 얻을 수 있다. 그러한 자신감은 친구와의 대인관계에도 적용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선 아이한테 자기의 감정 상태를 이야기해보게끔 유도해야 한다.

 

 5) 정서조절 전략 - 마음의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 정서조절의 목적은 정서의 억압이 아니라 균형이다. 정서조절 능력이 높으면 어려운 상황 속에서 고통의 감정을 느낄 때에도 그대로 좌절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 상황을 바꿀 수 있는 해결 방안을 모색해 안정된 정서 상태로 회복하려고 행동한다. 정서조절 능력은 가정에서의 일상생활과 공동체적인 삶 자체를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만들어주는 능력이다. 정서조절 능력은 어릴 때부터 가정에서 훈육되고 학습되어야 한다.

지적 지능은 유전되고 타고나는 부분이 많지만, 감성 지능은 환경에 의해 길러지는 부분이 더 많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