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평가 - 성격평가
페이지 정보

본문
1. 성격검사
성격이란?
개인이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지속적인 양식. 일관된 패턴을 말하는데 각 개인을 독특하게 만드는 특징적 양상을 보인다.
유전 대 양육의 측면에서 볼때 20~60%의 유전적인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유전적인 요인 이외에는 부모, 형제, 친구와의 관계와 같은 심리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Bouchard & McGue, 1990)성격 검사는 좁은 의미의 성격 특성 뿐만 아니라 넓은 의미의 정서, 대인관계, 자아상 등 비인지적인 심리기능 전반을 측정하는 검사를 가리킨다. 성격 검사는 사람의 마음에 접근하는 노력이며 진단, 정신내적인 역동성, 치료적 함의를 얻는데 도움을 준다.
성격 검사의 종류
1. 객관적 성격검사 : 특정한 답을 고르거나 평정 척도상에서 응답함. 검사 점수는 전국규준(Norm)을 참조해서 해석을 함. 보편적인 것으로는
- 다면적 인성검사와 그 개정판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 밀론의 임상적 다축 질문지 (Million Clinical Multilaxial Inventories, MCMI)
- 5요인 성격 질문지- 개정판 (NEO-Personality Inventory-Revised) 성격의 구조가 5개의 큰 요인으로 구성된다는 Big Five 이론에 기초
Neuroticism | 신경증 |
Extroversion | 외향성 |
Openness | 경험에 대한 개방성 |
Agreebleness | 친화성 |
Conscientiousness | 성실성 |
- Myers Briggs Type Inventory (MBIT) 그리고 각종 자기 보고 척도들이 있다
성격 검사의 종류
- 투사법 검사 : 모호하고 비구조화 검사 자극을 사용함. 욕구, 관심사, 역동, 동기 등이 모호한 검사 자극에 투사되어 드러남.
투사법 검사의 종류에는
Projective Drawing (House Tree Person- HTP), (Kinetic Family Drawing-KFD, 동적 가족화 검사)
성격검사 요약
- 성격검사는 성격 뿐만이 아니라, 정서, 대인관계, 자아상 등 비인지적 심리기능 전반을 측정하는 검사이다.
객관적 성격검사와 투사법검사로 나뉜다.
- 성격검사, 특히 투사법 검사의 타당도에 대한 비판적인 의견이 있으나, 임상현장에서는 활발하게 사용되어지고
[출처] 심리평가 - 성격평가|작성자 바다거북이
- 이전글이상심리학 - 정신분열증 22.05.03
- 다음글심리치료의 개념 22.05.0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