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코칭 심리학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21회 작성일 22-05-03 15:05

본문

코칭 심리학

coaching psychology ]

요약
개인의 삶과 일에서 행복과 수행을 고양하기 위한 것으로, 성인 및 아동 학습 또는 심리학적인 접근에 기반을 둔 잘 정비된 심리학적 접근
주요용어코칭(coaching), 심리학(psychology)
분류코칭 심리학

1. 발전 배경

2002년 5월에 열린 코칭 심리학 포럼에서 그랜트와 팔머는 “코칭 심리학이란 성인 학습과 심리학적 접근법에 기반한 코칭 모델에 의해 뒷받침되며, 정상적이고 병리학적 이상이 없는 사람들의 삶과 일에서 안녕과 성과를 높이는 활동”이라고 했다(Grant & Palmer, 2002). 이 포럼이 코칭 심리학 특별위원회로 발전하면서 여러 회의를 거쳐 코칭 심리학의 정의를 포괄적으로 만들기 위해 “정상적이고 병리학적 이상이 없는”이라는 문구를 삭제하기로 하고,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코칭 심리학은 성인 학습과 심리학적 접근법에 기반한 코칭 모델에 의해 뒷받침되며, 사람들의 삶과 일에서의 안녕과 성과를 높인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Palmer & Whybrow, 2006; Grant & Palmer, 2002; 탁진국 등, 2010에서 재인용).

최근에는 코칭 심리학을 “개인의 삶과 일에서 행복과 수행을 고양하기 위한 것으로 잘 개발된 성인 및 아동 학습 또는 심리학적인 접근에 기반을 둔 잘 정비된 심리학적 접근”으로 정의한다.

코칭(coaching)과 코칭 심리학(coaching psychology)은 개념적으로 구분된다.

코칭은 경영자 훈련이나 경영 컨설팅 등의 영역에서 그 중심 기능이 개인과 조직의 변화와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Hudson, 1999). 이 영역에서는 심리학적 배경을 가진 전문가보다는 비심리학적 전문가가 많은 편이다. 한편, 코칭 심리학(coaching psychology)은 잘 개발되어 있는 성인 및 아동 학습 또는 심리학적 접근에 기반을 둔 코칭 모델로서 개인의 삶과 직업에서 안녕과 수행을 고양하는 것(Grant &Palmer, 2002)이다. 이 영역에는 심리학에 기반을 둔 변화 전문가가 많은 편이다.

코칭과 코칭 심리학

코칭과 코칭 심리학
구분 코칭(coaching)코칭 심리학(coaching psychology)

공통 요인

변화를 위한 전문직

정의

중심적인 기능이 변화와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것(Hudson, 1999)

개인의 삶과 일 영역에서 행복과 수행을 고양하기 위한 분야로 성인과 아동의 학습 및 심리학 이론에 근거를 둠(Grant & Palmer, 2002)

경력

리더십 훈련가
컨설턴트

심리학 기반 실행가

배경

심리학이 아닌 전공

심리학 기반 전공

출처: 전종국(2008). 코칭심리학의 역사와 역할, 2008 한국심리학회 연차대회 자료집

2. 코칭 심리학의 역사

최근 코칭은 다양한 장면에서 활용되는 심리적 지원 서비스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코칭은 신생 분야이지만, 그 역사의 뿌리는 선사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형식적 수준에서 보면 코칭은 스포츠 심리학과 상담 및 임상 심리학에서 활용하는 많은 심리학적 원리와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코칭은 사회의 변화와 더불어 발전해 왔다. 과거의 삶은 직장 생활, 공동체 생활, 가족 관계 등에서 불안정한 감은 있었지만 예측할 수 있는 부분이 많았다. 반면에 오늘날 우리의 삶과 상황은 점점 더 불안정해지고, 감정적이고, 불연속적이며, 과도기적 상황이 되어 가고 있다. 허드슨(Hudson, 1999)은 시대적 변화와 더불어 코칭 분야가 필요한 이유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 과거의 삶은 직업 생활, 가족 관계, 공동체 조직 생활 등에서 다소 불안정한 감은 있었지만 예측할 만하게 연속적으로 계획되어 왔다.
• 특히 직업 생활은 도제로부터 전문가가 되는 단계까지 연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노선이 정해져 있었다. 조직과 공동체는 영원할 것처럼 보였다.
• 오늘날 우리의 삶과 상황은 점점 더 불안정해지고, 감정적이고, 불연속적이며, 과도기적 상황이 되어 가고 있다.
• 세상에 대한 우리의 지각은 안정되고, 질서 있고, 점진적인 발달 모델이 아니라 불안정하고, 무질서하고, 변화 주도적인 모델로 변했으며, 많은 사람들이 그에 따라 변화하는 데 실패했다.
• 우리 대부분은 확실한 안정과 행복, 재정적 번영을 가져다주는 삶의 계획, 직업, 조직 생활 등을 원했다.
• 지금도 이러한 것을 원하고 기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지금 범람하고 있는 변화 과정 속에서 우리의 삶을 이어 갈 방법을 학습하는 대신에, 앞선 세대가 우리 마음 속에 깊이 심어준 허망한 약속으로 어두운 미래를 전망하게 되었다.

시대 변화에 따라 코칭 분야가 등장하면서 두 가지 큰 흐름으로 발전했다 그 중 하나는 산업체에서 진행되는 코칭이나 라이프 코칭이며, 다른 하나는 심리학에 근거를 둔 코칭 심리 분야로 스포츠 심리학에서 발전된 것이다.

먼저 산업체의 코칭 역사를 살펴보면, 1960년부터 기업체에서 효율적 관리를 위해 다양한 방법을 적용했는데, 상의하달()식 관리 관행을 바꾸기 위한 관리자 훈련 프로그램이 등장했다. 1980-1990년대에는 조직의 변화를 위해 컨설턴트를 활용했다. 컨설턴트는 조직 시스템에 직접 개입하여 자문을 통해 조직의 변화를 추구했지만, 파도가 해변을 때리고 되돌아가듯이 이들의 활동도 조직에 지속적인 변화를 일으키지는 못했다. 그래서 조직 변화를 위해 기업 임원이나 최고위층이 개인적으로 변화를 시도할 필요성을 느끼고 그 변화 방법으로 임원 코칭이나 기업 코칭이 탄생했다.

한편, 코칭 심리의 역사를 살펴보면 소크라테스는 초기 개척자 중 한 사람이지만, 코칭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는 1920년대부터이다(Grant, 2007). 그리피스(Griffith)는 스포츠 심리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데, 1918년 야구와 축구팀에서 심리학적 관찰을 한 결과, 1926년 『코칭의 심리학』이란 책에서 관람객, 스타 선수 및 징크스를 가진 선수, 코치 팀의 문제, 학습의 원리와 법칙을 다루었다. 그리고 1919년부터 1931년까지 40여 편의 논문을 저술했다. 그 후 로터(Lawther, 1951)는 『코칭의 심리학』이라는 책에서 스포츠 분야의 코칭을 다루었으며, 게일로드(Gaylord, 1967)는 코칭 심리학이란 용어를 처음 사용한 책 『현대 코칭 심리학』 에서 코치는 피코치자의 건강을 지켜 주는 교사 역할을 한다고 피력했다. 그 후에 운동선수의 코칭 심리학, 동기 부여와 코칭 심리학, 코칭 심리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책들이 출간되었다.

최근 스포츠에서의 우수성(excellence)은 비즈니스 영역에 매력을 느끼도록 했으며, 우수성과 고()성과를 추구하는 기업 내담자들에게 매력을 갖게 했다(O'Broin & Palmer, 2006). 하지만 현재 임원 코칭이나 라이프 코칭은 스포츠 심리학에서 발견된 코칭 심리학의 이론을 적용하거나 통합하지 않았다.

현대의 코칭에 영향을 준 심리학적 학파들은 다음과 같다(Grant, 2007). 1960년대부터 활발하게 발전해 온 매슬로(Maslow)의 인간 중심적 접근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참 만남 집단(encounter group)과 자기 성장 집단(personal growth group) 등의 인간 잠재력 개발 운동(human potential movement)을 거쳐 최근 마틴 셀리그먼(Martin Seligman) 등을 중심으로 한 긍정 심리학의 영향을 받았다. 코칭의 초기 단계에서는 심리학 배경의 코치와 심리학 배경이 아닌 코치 간에 긴장이 조성되었다. 최근에는 확고한 이론적 기초와 엄격한 증거-기반 접근이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코칭 심리학의 발전

코칭 심리학의 발전

현재의 코칭 심리학이 심리학의 하위 분야로 받아들여진 것은 2000년 시드니 대학이 코칭 심리학과를 개설하여 코칭 심리 대학원 학위 과정을 개설한 때부터이다(Grant, 2007). 영국 심리학회에서 코칭 심리 분야로 인가를 받은(2004) 후, 2,000여 명의 회원을 확보하고 있는데, 이 중 절반은 심리학 분야 자격을 가진 사람이다. 한편 호주의 심리학회의 분과학회인 코칭심리학회는 2002년 연차대회를 최초로 실시하고, 2003년 전 국가 범위의 위원회를 열어 600명이 참가했다. 이들 학회에서는 심리학적 이론과 응용 분야에 근거하여 코칭 심리학의 이론적이고 전문적인 발달을 촉진하고 있으며, 심리학의 전문성 내에서 최상의 코칭 심리학 실행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3. 코칭 심리학의 역할

코칭 심리학은 비정상적인 내담자를 정상으로 이끌어 내는 치료적 모델과는 달리, 건강한 사람을 더 건강한 사람으로, 즉 현재보다 더 나은 성장과 변화, 행복, 목표 달성을 이루도록 돕고 있다. 코칭 심리학에는 긍정 심리학과 최근에 부각되고 있는 정신-신체 통합론에 근거한 다양한 모델이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코칭 심리 분야에서 다루는 방법은 다른 심리학 분야, 즉 임상, 상담, 학교 심리학 분야에서 이미 다룬 훈련 프로그램과 유사한 측면도 있다.

특히 임상 심리학자와 상담 심리학자는 자신도 이미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코칭의 많은 실천 방법이 상담 또는 임상 심리학의 처치 기법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들이 코칭 심리학 분야의 전문성을 확보하려면, 초기 처치 목표(증상 제거나 증상 회복)가 달성된 뒤에도 지속적인 작업을 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치료적 목적이 달성되고 나면, 내담자들은 치료적이라기보다는 목표 달성과 행복이나 안녕에 초점을 둔 코칭 관계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집필 : 전종국, 최혜란(대구사이버대학교/백석대학교 학생생활상담센터)

출처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표제어 전체보기
제공처
한국심리학회 http://www.koreanpsychology.or.kr
심리학용어사전은 네이버와 한국심리학회가 공동기획하고 제작하는 콘텐츠입니다. 한국심리학회는 1946년 설립돼 현재 14개 분과에 17,000여 명의 회원이 속해 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심리학 연구를 위한 학술 단체입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코칭 심리학 [coaching psychology]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한국심리학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